주식공부 증자,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이번 포스팅은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에 대해 하겠습니다. 주식공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번에 삼성중공업에서 유상증자를 한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증자의 종류에는 무상증자와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어떻게 다른 것이며 왜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자라고 하는 것은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는 일을 말합니다. 또한 주식을 더 발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017/09/29 - [재테크] - 주식의 개념 및 정의

2017/12/05 - [재테크] - 주식의 매수와 매도, 매매방식 개념

2017/12/07 - [재테크] - 주식 공부 PER (Price earning ratio)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증자를 하지만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주주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기존주주들에게만 허용이 되는 것이며 이미 가지고 있는 주식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무상증자는 돈을 받지 않는데 어떻게 주식을 발행할까요? 이것은 회계장부의 숫자를 옮기는 것으로 가능합니다. 자산은 자본 + 부채로 나뉘게 됩니다.


이 중 자기자본은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누어집니다. 자본금은 주식을 발행해서 얻은 돈을 이야기하며 잉여금은 사업을 통해서 얻을 이익을 이야기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의 방식은 잉여금은 자본금으로 넘기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회사가 이익을 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호재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상증자는 자기자본의 변동은 없으며 잉여금이 자본금으로 넘어가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상증자

유상증자란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새로 주식을 발행해 기존 주주나 새 주주에게 돈을 받고 파는 형태를 이야기합니다. 주주들에게서 받은 돈으로 회사는 주식 발행액만큼 자본금이 늘어나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새로운 투자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은 회사가 어려워서 유상증자를 받을 수도 있으며 유상증자를 하게 된다면 주가가 하락된다는 공식이 있습니다. 주식수가 늘어난 만큼 그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공식은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니며 유상증자를 한다고 해서 회사가 항상 어렵기 때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사업을 하기 위해 자본금이 필요해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어떤 이유 때문에 유상증자를 하는지 알아야 하며 업계의 현재 상황도 판단을 같이 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