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부 PER (Price earning ratio)

이번 포스팅은 주식 공부에 대해 하겠습니다. 그 중에서 PER(주가수익비율)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주식을 사려고 할 때 그 회사가 어떤 회사인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고 분석을 해야 다음에 어떻게 될 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재무재표나 차트로 분석할 수도 있고 시장 동향을 보고 분석을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주식에서 알아야 할 개념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지금 주식의 값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지금 현재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현재 현금 유동성이 어떻게 되며 회사의 수익은 어떻게 되는지 여러가지 분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PER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PER이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 입니다. 한글로 번역한다면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번역할 수 있으며 어떤 회사의 주식가치가 저평가 되었는지 고평가 되었는지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주식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이야기 하며 한 주에 1000원 하는 회사 주식이 있다고 예를 든다면 1년에 주당 순이익이 100원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PER 10이 됩니다. 이 수치가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이 크면 클수록 그 회사의 주식 가치는 고평가가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현재 주가와 수익률을 비교해 본다면 그 답이 나옵니다. 한 주에 똑같이 1000원 하는 주식이 있다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1년에  A 100원의 순이익이 B 200원의 순이익이 나는 회사입니다. 그렇다면 A회사의 PER 10, B회사의 PER 5가 됩니다. PER은 년 단위로 계산을 하는 것이므로 10 5는 순이익으로 현재 주식가치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회사는 순이익으로 현재 주식가치만큼 도달하는데 10년이 걸린다는 뜻이 되며 B회사는 순이익으로 현재 주식가치만큼 도달하는데 5년이 걸린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가 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PER이 낮아질수록 현재 주식가치가 저평가 되어 있으며 수익률이 좋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주의점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은 PER만 보고서 투자를 하면 절대 안된다는 점입니다. PER이 낮더라도 이것은 보조지표로 사용해야 하는 것이지 PER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또한 PER이 높다고 해서 고평가 되어있으니 사지 말아야겠다 라는 생각도 하시면 안됩니다. 일부 신생기업, 벤처기업들은 PER100이상으로 올라가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따라서 동종업계의 PER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 업계의 시장이 현재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언제를 기준으로 PER 값이 나왔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게 현재의 PER인지 작년의 PER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을 분석하는데 PER만 사용하면 안되고 다른 지표들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세계 시장의 동향과 금리 변화 등 많은 요소들이 포함되어서 주가를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분석을 확실하게 하고 주식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은 주식 공부 PER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돈을 벌려고 한다면 항상 공부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주식에 대한 개념 설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17/12/05 - [재테크] - 주식의 매수와 매도, 매매방식 개념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