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설명
- 재테크
- 2018. 5. 3. 14:29
오늘은 상장지수펀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상장지수 펀드는 ETF와 같은 말입니다. ETF는 Exchanged Trade Fund의 약자입니다.
상장지수펀드(ETF)란?
이 상장지수펀드는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입니다.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가 됩니다.
특정 주가지수라 하면 우리나라의 코스피, 코스닥과 같이 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이 상장지수펀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덱스펀드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인덱스 펀드는 주가지수 등락율과 같거나 비슷한 수익률이 나도록 주식을 편입시켜 만든 펀드입니다.
이러한 인덱스펀드를 기초로 발행되는 수익증권, 뮤추억펀드 주식을 바로 ETF증권이라고 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ETF증권을 거래소에서 사거나 팔 수 있습니다. 10종목 이상의 주식을 묶어 하나의 지수로 만들고 이 지수를 하나의 종목으로 증권거래소에 등록하여 매매할 수 있습니다.
ETF의 특징
펀드의 구성은 해당 주가지수에 포함된 주식의 바스켓과 동일하며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거래소에 상장하여 일반 개인들이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지수에 연동해 수익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인덱스펀드와 유사하지만 증권시장에서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이렇게 매매가 가능하므로 실시간으로 가격도 확인이 가능하며 주식 여러가지가 묶여있으므로 등락의 폭이 적습니다. 조금은 안정적으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지수를 묶어놓은 묶음은 1주당 가격이 1만원이고 매매 가능한 최소단위는 10주입니다. 따라서 10만원 이상만 있으면 투자가 가능합니다.
ETF는 원금보장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손절의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투자를 하셔야합니다. 또한 국내지수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과세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해외지수 ETF도 비과세 전용 계좌를 이용한다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레버리지형, 인버스형 ETF 등 다양한 상품이 있는데 조건을 잘 보고 들어가셔야 합니다. 수익률이 나더라도 조건을 잘 보지 않고 들어가면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산구성내역을 꼭 확인하고 들어가야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Toss) 어플리케이션 소개 정리 (0) | 2018.05.09 |
---|---|
주식공부 - 가치와 가치평가의 개념 정리 (0) | 2018.05.08 |
20대 재테크 얼마나 저축해야 할까? (0) | 2018.04.28 |
펀드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설명 (0) | 2018.04.18 |
복리와 단리, 복리의 개념, 이득, 이점 (0) | 2018.04.16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