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의 개념과 거시경제의 발전



거시경제(Macroeconomics)란?



거시경제의 개념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이론체계가 경제학입니다. 경제학의 연구에 있어서 분업과 전문화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데요. 이러한 거시경제현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려는 이론 체계를 거시경제라고 합니다. 


거시경제는 전체 경제의 총생산량 변화, 국민 소득의 변화가 주 관심사입니다. 따라서 거시경제는 국민소득론이라고도 하는데요. 거시경제가 다루는 변수는 국민소득과 연관된 변수들을 다루게 됩니다. 이러한 변수에는 생산량, 국민소득에 따른 물가, 이자율, 국제수지 등이 있습니다.



거시경제의 발전


미국의 대공황이 오기전까지 경제학자들은 장 장티스트 세이의 세이의 법칙을 믿고 있었습니다. 세이의 법칙이란 공급은 수요를 창출하므로 과잉생산은 없다. 라는 것인데요. 하지만 여기서 이것은 반론할 과잉생산과 대공황이 찾아오게 됩니다.


대공황과 함께 은행이 파산하며 뉴딜정책을 운영하며 경제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세이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과잉생산에 대한 해결책이 경제학 제1의위기로 찾아오게됩니다. 


여기서 케인스의 고용, 이자율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 , 줄여서 일반이론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