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 EPS, 주당순이익에 대한 설명 정리
- 주식
- 2018. 6. 1. 14:28
오늘은 EPS의 설명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EPS(Earning Per Share)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압니다. 한글로 해석해본다면 주당 순이익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를 계산하는 공식은
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입니다.
EPS를 계산하는 이유는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1년 동안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에 투자하는 이유는 수익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이 수익이 낮다면 투자할 가치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계산식에서 보면 당기순이익 / 주식수 입니다. 따라서 EPS가 높기 위해서는 당기 순이익이 높거나 발행 주식수가 적으면 가능합니다. 또한 증자를 통해 주식발행수가 늘어나면 EPS가 낮아지게 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 투자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EPS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좋다는 뜻입니다. 또한 EPS가 높을수록 배당경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2018/04/11 - [주식 관련] - 주식공부 배당금, 배당수익률, 배당성향에 대한 정리
최근에는 EPS를 중요한 지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PER을 계산하는데 주당 순이익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계산은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2017/12/07 - [주식 관련] - 주식 공부 PER (Price earning ratio)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유보율, reserve tatio의 개념 정리 (0) | 2018.06.05 |
---|---|
액면가에 대한 설명, 액면가는 무엇인가? (0) | 2018.06.04 |
주식 공부 사이트 추천 ( 씽크풀, 주담, 팍스넷) (0) | 2018.05.21 |
주식시장 개장시간, 마감시간, 시간외거래 정리 (0) | 2018.05.18 |
주식 회계 자산, 자본, 부채의 개념 정리 (0) | 2018.05.09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