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 주가이동 평균선,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이번 포스팅은 주식공부 중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 대해 하겠습니다. 주식을 하신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차트 상의 주가이동 평균선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2017/09/29 - [재테크] - 주식의 개념 및 정의

2017/12/07 - [재테크] - 주식 공부 PER (Price earning ratio)

2017/12/08 - [재테크] - 주식공부 증자,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2017/12/10 - [재테크] - 주식공부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이동 평균선

주가 이동평균성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을 이야기합니다.


주가 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으로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을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지표이며 대부분의 증권 거래 어플이나 프로그램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스란 주가를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강력한 강세장으로 전환함을 나타내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보통 '단기 골든크로스'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을 말하며, '중기 골든크로스' 20일선과 60일선을, '장기 골든크로스' 60일선과 100일선을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단기 골든크로스가 나타났다면 5일간 주가의 평균가격(5일 이동평균선) 20일간 주가의 평균가격(2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서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것은 최근 5일간 투자심리가 지난 20일간 투자심리보다 좋아지면서 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증권시장에서는 골든크로스 출현을 향후 장세의 상승신호로 해석합니다.


하지만 단기 골든크로스만 가지고서는 상승 추세라고 해석하기에는 이르며, 보통 5일선과 20일선이 60일선을 뚫고 다시 120일선을 뚫으면 추세적 상승세로 해석합니다. 또 골든크로스 발생 시 거래량이 많을수록 강세장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러한 골든크로스가 꼭 맞다는 보장은 없으며 기술적 분석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주식들이 이러한 골든크로스가 생기면 상승세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며 확률을 보았을 때 오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지만 너무 맹신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데드크로스

데드크로스는 골든크로스의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생긴다면 보통 약세장으로 변환될 때 생기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분석됩니다.


주식시장이 상승추세를 보일 경우 이동평균선들은 기간이 짧은 선이 장기이동평균선위에 위치하는 모양을 갖춥니다. 주가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150일선보다는 75일선이, 75일선보다는 25일선이 위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그러나 데드크로스는 정배열형태로 움직이던 이동평균선들이 반대의 개념인 역배열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초기신호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데드크로스는 주식시장이 약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맹신하면 안되지만 충분히 분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표가 나오기 전에 이미 상승이나 하락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잡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