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M 군산공장 폐쇄


이번 포스팅은 한국 GM 군산공장 폐쇄에 대해 하겠습니다.


말이 많던 한국의 제너럴모터스(GM)가 결국 구조조정 차원에서 한국GM 군산공장을 폐쇄키로 하면서 GM 한국 철수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GM은 높은 임금수준 등 한국GM의 고비용 구조 문제를 핵심 원인으로 지목하는 반면, 노조와 정치권 일부는 GM이 한국GM을 상대로 고리대금에 치중하는 등 경영 행태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것들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군산공장을 폐쇄하고 한국 GM의 철수가 확실시 된다면 실업자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4일 한국GM에 따르면 2014~2016 3년간 누적 당기순손실 규모는 약 2조원에 이르고, 지난해 역시 2016년과 비슷한 약 6천억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추정됩니다. 4년간 적자 규모가 최소 26천억원, 많게는 3조원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GM이 설명하는 경영난의 핵심 요인은 한 마디로 '차는 안 팔리는데 임금 등 비용은 갈 수록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한국GM의 판매량에서 수출은 85%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합니다. GM의 대대적 글로벌 사업 재편이 진행되자 '수출 위주' 한국GM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GM이 유럽,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주요 시장에서 줄줄이 철수하고 계열사 오펠 등을 매각하면서 여기에 완성차나 부품을 수출하던 한국GM이 공급처를 잃은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2013년 말 단행된 '쉐보레' 브랜드의 유럽 시장 철수는 결정타가 되었습니다. 유럽에서 쉐보레가 철수하며 수출이 낮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수출을 중심으로 판매가 뒷걸음질하는 상황에서도, 한국GM의 임금 수준은 꾸준히 올랐습니다.


2017년 기준 임금 수준은 2002년의 2.5배까지 뛰었고, 총 인건비(2015년 기준) 2010년과 비교해 50% 이상 늘었습니다.


2013년 이후 2016년까지 성과급은 해마다 1천만원 이상 지급됐고, 기본급 인상률은 3.3~5% 범위에서 유지되었습니다.


해를 넘겨 타결된 2017년도 임금협상도 기본급 5만원 인상, 성과급 150만원 수준에서 타결됐습니다.


2009년 이후 작년까지 9년 동안 2009, 2010, 2014, 2015 4년을 제외하고는 파업도 반복되었습니다.


지난 12(미국 현지 시각) 댄 암만 GM 사장이 "GM의 한국 내 장기 잔류 여부는 (한국) 정부가 기꺼이 자금이나 다른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지, 한국 노조가 노동 비용 절감에 동의해줄지에 달려있다"


"만약 우리가 (한국GM) 주주들과 함께 구조조정과 생존 가능한 비용구조 확보에 성공한다면, 우리는 신차에 대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 것도 한국GM의 고비용 구조에 대한 지적입니다.


이러한 것은 정부의 지원을 바라며 노동자의 임금을 낮춘다면 철수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도와주며 한국 GM을 키워주어도 미국이 본사이기 때문에 언제 철수할 지는 모르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이 오기까지 내부에서는 어떤 일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참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과연 어떻게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알겠지만 정부의 지원이 없다면 철수는 거의 확실시 되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