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인상에 따른 교촌치킨 5월부터 배달비 유료화
- 정보
- 2018. 4. 6. 15:08
국내 1위 치킨업체인 교촌치킨이 내달 1일부터 배달 서비스를 유료화한다고 합니다. 최저임금이 인상되고 나서 배달비가 너무 많이 들어간다는 판단 때문일까요? 아니면 치킨값을 올렸더니 닭의 원재료 값이 얼마인지 따져 받아서 그런 것일까요? 교촌치킨이 배달비를 받기로 했으니 다른 치킨업체들도 다 같이 배달비를 받게 될 것 같습니다.
배달비가 명목이지만 결국 치킨값이 올라가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배달 건당 2000원
교촌치킨은 6일 가맹점 운영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배달 서비스 유료화를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현재 전국 가맹점 동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가맹점 동의를 마친 뒤 내달부터 이 정책을 시행하면 교촌치킨 배달 주문시 건당 2000원의 배달 서비스 이용료가 부과됩니다.
교촌치킨은 배달비용 증가가 가맹점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이라고 판단해 이번 정책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배달 인력난과 배달 서비스 운용 비용의 상승이 가맹점 운영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돼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것도 한 몫 한 것 같습니다.
배달 서비스 이용 시에만 배달료가 적용되며, 교촌 오리지날(1만 5000원), 허니 오리지날(1만 5000원), 허니콤보(1만 8000원) 등 기존 메뉴 가격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치킨값 인상 대신 배달비?
교촌치킨이 치킨값 인상대신 배달수수료를 받기로 한 것은 정부나 소비자 단체의 압박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실제 지난해 5월 BBQ가 치킨가격을 인상하려했다 정부의 강한 압박에 철회한 전례가 있습니다. 그사이 최저임금 인상과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가맹점들의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교모하게 피하려고 하는 느낌이 드는 것은 제 생각일까요?
특히 배달서비스 전문업체의 수수료가 올들어 1000원 가량 오른 건당 3000~4000원이 되자 가맹점들이 한계상황에 내몰리면서 결국 배달 유료화에 나선 것입니다. 특히나 장사가 잘 되지 않는 가맹점은 배달 전문업체를 사용하고 가게에 직영으로 배달원을 두지 않는데요.
교촌치킨 관계자는 “가맹점의 악화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검토된 여러 방안 중 배달 서비스 유료화가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으로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시리아 공습과 경제 상황 (0) | 2018.04.14 |
---|---|
미국 증시의 방향 미국, 러시아 혼돈의 카오스 (0) | 2018.04.13 |
청년, 신혼부부 민간 임대주택 관련 소식 (0) | 2018.04.04 |
경제용어 엥겔지수에 대한 설명 (0) | 2018.04.03 |
금호타이어 법정관리 및 해외매각 소식 (0) | 2018.04.01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