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의 개념과 장점에 대해서
- 재테크
- 2017. 10. 12. 18:47
CMA의 개념과 장점
이번 포스팅은 CMA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CMA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많이 얘기하는 주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입니다.
해석을 해보자면 자산 관리 통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되며 단기간의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장점이 있는데 어떤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A란 무엇인가?
CMA는 종합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탁 받은 돈을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또한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고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지만 대부분은 국채나 우량채 등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낮습니다.
하지만 증권회사에서도 고객의 유휴현금을 자동으로 MMF, RP 등에 투자하면서도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서비스에 CMA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예금자보호가 되는 종금사형 CMA와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 증권사형 CMA가 명칭 구분없이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증권회사의 CMA는 CMA약정 계좌 내 예치자금을 MMF, RP 등의 금융자산에 자동으로 투자(매수)하고 고객의 현금인출 요구 시 자동으로 매도하여 주고, 연계된 은행계좌 또는 소액지급결제시스템에 참가한 증권회사의 고객계좌를 통해 급여이체, 인터넷뱅킹, 결제대금(공과금, 카드대금, 보험료 등) 자동납부, 자동화기기를 통한 입출금 등 각종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종합계좌서비스를 말합니다.
CMA의 장점
1. 입출금이 자유롭다.
입출금이 자유롭기 때문에 적금과 같이 장기적으로 자본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CMA통장을 개설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출금이 자유로운 것은 많은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급하게 돈을 운용해야 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장점이 극대화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금, 적금통장만 이용하는 것이 아닌 CMA 통장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단기간 자본 운용
은행에 비해 단기간 이자가 붙습니다. 하루만 예금을 해도 이자가 붙기 때문에 단기간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증권사마다 이자율과 수수료가 다르지만 단기간으로 투자를 하기에 좋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증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가입을 하셔야 하며 공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리가 낮아진 만큼 CMA의 이자율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간으로 자본을 운용할 때 좋으며 금리가 다시 높아진다면 CMA의 이자율도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CMA에만 투자하는 것 보다는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안정성이 높습니다.
요즘 나오는 CMA들은 대부분 원금 보장형이 많습니다. 크기가 큰 국채나 우량채에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금 보장이 가능하며 국가가 망하지 않는 이상 충분히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 상품이 많지만 그래도 원금 보장형이 많기 때문에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경로의 정의, 중요성, 필요성 (0) | 2017.10.22 |
---|---|
채권의 정의, 주식과의 차이 (0) | 2017.10.19 |
금리와 환율의 관계, 개념 (0) | 2017.10.08 |
선물옵션, 선물계약에 대한 설명 (0) | 2017.10.07 |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과 특징 (0) | 2017.10.05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