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SDTHD 2018. 7. 24. 23:58
주식에 부과되는 세금, 주식에 세금은 얼마인가? 주식 투자자에게게 부과되는 세금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시작하면서 궁금하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주식에도 부과되는 세금이 있는가? 입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 궁금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주식에 붙는 세금은 있습니다. 주식의 세금은 소액주주일 경우와 대주주일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부과됩니다. 또한 주식을 팔 때 그리고 소유중일 때 따로 나눠집니다. 주식을 팔 때 세금, 주식을 가지고 있을 때 세금 주식을 팔때는 증권거래세와 팔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로 나뉩니다. 그리고 주식을 보유중일 때는 배당을 받게되며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소액주주장내거래에서는 증권거래세가 양도가액의 0.3%가 부과됩니다.장외거래에서는 증권거래세가 양도가액의 0...
더 읽기
재테크 SDTHD 2018. 7. 23. 20:53
헤지펀드에 대한 설명 헤지펀드 (Hedge fund) 헤지펀드는 다른 펀드와 마찬가지로 개인을 모아 투자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제증권시장이나 국제외환시장에 투자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헤지(Hedge)라는 것은 본래 위험을 회피 분산시킨다는 의미이지만 헤지펀드는 위험회피보다는 투기적인 성격이 있습니다. 헤지펀드는 주식 채권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파생상품 등 고위험,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하기 때문에 유의해야합니다. 헤지펀드는 우선 위험성이 따르고 있으며 기본적인 자본이 뒷받쳐주어야 합니다. 소수의 투자자를 모집하며 공매도, 롱쇼트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매도는 주식이나 채권, 외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있지 않은 것을 되파는 것이며 롱쇼트 전략은 가치보다 싼..
주식 SDTHD 2018. 7. 21. 23:04
지금까지 많은 글들을 발행했는데 정리가 필요해 보여서 정리를 한 번 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글들 중에서 필요한 글도 있고 필요없는 글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기본 용어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주식의 개념, 정의와 같은 것들을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처음에 시작할때는 무엇인지 알고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식, 채권과 같은 것들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2017/09/29 - [주식 관련] - 주식의 개념 및 정의2017/09/30 - [재테크] - 주식회사와 유한회사의 차이점2017/10/19 - [재테크] - 채권의 정의, 주식과의 차이2017/10/14 - [주식 관..
주식 SDTHD 2018. 7. 19. 11:44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면 이익을 얻거나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투자의 위험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은행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의 리스크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항상 주식에 대한 공부를 하다 보면 '손절을 해라', 손절을 할 퍼센테이지(%)를 정해놓고 해라,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해라라는 말이 나옵니다. 이렇게 말만 하고 왜 해야되는지 설명조차 안해주는 책이나 사람들이 원망스러울 때가 있으실 것입니다. 요즘은 가상화폐(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분들도 적지 않으며 가상화폐 투자자들에게는 존버라고 해서 아무리 손실이 있더라도 버티면 올라간다라는 망상 아닌 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까지의 가상화폐 시장에서 버티면 올라갔지만 미래에도 그렇게 버티면 올라갈지는 미지수입니다. 하..
정보 SDTHD 2018. 7. 14. 15:38
2019년 최저임금2019년의 최저임금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2019년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8,350원으로 2018년의 최저임금인 7,530원보다 10.9%오른 것인데요. 많이 올라도 적게 올라도 말이 많은데 어디에 맞춰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최저임금이 올라도 결국은 원점이 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오른다고 하니 기분은 좋은데 과연 이게 얼마나 체감할 수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2018년 최저임금현재 최저임금은 7,530원으로 2017년보다 16.4% 인상되었는데요. 이것을 가지고 너무 많이 올렸다 등 말이 많았습니다. 16%면 많이 올랐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각종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직원을 구하는데 어렵다고 말을 하고 실제로 배달음식의 값에서 배달비를 따로 받는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
주식 SDTHD 2018. 7. 13. 22:16
주식을 처음 접하면 주식 차트 분석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주식의 과거의 차트를 분석해 미래를 예측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엘리어트의 파동이론은 나온지 꽤 많은 시간이 흘렀으며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알아두면 좋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간단히 설명하면 정말 단순한 이론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많은 연구끝에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연속적인 파동에 의해 움직인다는 이론이며 총 8개의 파동이 1개의 사이클을 형성해서 반복된다는 이론입니다. 주가변동을 예측하는데 사용하며 1938년 랠프 넬슨 엘리어트가 만든 이론입니다.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으며 주식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이론적으로는 기초중에 기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엘리어트가 이론을 만들면서 75년간의 데이터를 연간, 월간, 주간,..
주식 SDTHD 2018. 7. 11. 10:13
주식을 하는 분들이라면 배당투자라는 것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배당투자에는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본이 많아야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돈 놓고 돈 먹기 라는 표현이 어울릴정도로 자본금이 중요합니다. 배당투자배당투자란 주식투자를 하면서 주식이 거래는 가격으로 차익거래를 하는 것이 아닌 계속 가지고 있어 배당을 얻는 것을 말합니다. 배당수준에 따른 매매가 이루어지며 요즘은 배당성향이 덜하기 때문에 많이 하지는 않습니다. 배당투자에 있어 주의할 점 1. 배당기준일기본적으로 배당투자를 위해서는 배당기준일을 잘 알고 계셔야합니다.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에 배당을 하는 회사의 주주여야 합니다. 그말은 배당기준일에 그 회사의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
정보 SDTHD 2018. 7. 2. 16:59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점 현실화가 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때문일까 오늘 주식시장의 코스닥과 코스피는 동반 하락입니다. 7월 2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2.35% 코스닥은 -3.47% 하락한 채로 장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이 매도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는데요. 미중 무역에 대한 우려때문인 것 같습니다. 자동차 관세?중국은 6일부터 미국산 자동차에 관세 40%를 물린다고 하는데요. 미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대해 25%의 추가관세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지난 5월에는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5% -> 15%로 낮추기로 했는데 미국에서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여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차들은 상관이 없지만 미국기업의 포드, 테슬라등 미국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주식 SDTHD 2018. 6. 29. 14:32
삼성바이오로직스 콜옵션 행사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바이오젠의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해 주식매수청구권(콜옵션)을 행사한다고 하여 장초반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가지고 있던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을 바이오젠에게 넘기게 되는 것인데요. 2017/10/07 - [재테크] - 선물옵션, 선물계약에 대한 설명 주식매수 청구권 ( 콜옵션 ) 주식매수 청구권은 콜옵션이라고 합니다.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만기일을 정해놓고 만기일이나 만기일 전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주식 옵션에 대한 이야기는 선물옵션을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은 콜옵션의 수익구조에 대한 설명을 하는 그림입니다. 현재 바이오젠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 약 49.9%를 매수하는 것이..
정보 SDTHD 2018. 6. 27. 15:42
종부세(종합부동산세)에 대한 개편안이 나오면서 부동산 가격을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종부세에 대한 개편안은 4가지 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종부세 개편안1. 공정시장 가액비율 최대 100% 인상2. 과세표준 구간별 세율 0 ~ 0.5% 포인트 인상3. 공정시장 가액비율과 세율 동시 인상4. 다주택자만 세율 인상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개편안들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 중요하게 볼 것은 공시지가, 공시가격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공시가격공시가격은 실제 거래되는 가격이 아닙니다. 정부가 매년 전국의 대표적인 토지와 건물에 대해 조사해 발표하는 부동산 가격을 말합니다. 땅에 대한 공시가격은 공시지가라고 합니다. 주택의 경우 실제 거래 가격의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