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SDTHD 2018. 5. 9. 13:29
오늘은 자산과 부채, 자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 자산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야기가 먼저인 것 같아서 다시 자산과 부채부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이야기는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자산, 자본, 부채는 재무제표를 보는데 기본이 될 수 있는 것들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좀 더 공부하다보면 헷갈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제대로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본자본은 영어로 capital이라고 합니다.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본은 밑천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물자본, 화폐자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돈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편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부채부채는 영어로 ..
더 읽기
재테크 SDTHD 2018. 4. 18. 10:35
오늘은 펀드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재테크를 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됩니다. 돈을 굴리는 방법입니다. 돈을 가만히 놔두거나 은행에 예금으로 맡겨놓게 되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투자를 하는데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고위험이면 고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금을 손실을 감수하면서 고수익을 내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요즘은 원금보장형으로도 펀드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투자하기 좋습니다.물론 한창 예전에 유행을 타고 요즘에는 펀드에 대한 관심이 조금 줄어든 것 같습니다. 펀드의 개념펀드란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모금한 실적 배당형 성격의 투자기금입니다. 참 어려울 수 있는데 많은 사람들에게 돈을 모아서 투자를 하게 되고 그 투..
재테크 SDTHD 2018. 4. 16. 13:43
오늘은 복리와 단리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복리와 단리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복리로 이자를 얻게 되면 많은 돈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네.. 복리의 개념을 알아야 돈을 벌 수 있고 빠르게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자는 참 중요하며 금리와 관계가 있습니다. 복리와 단리먼저 단리부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단리는 간단합니다. 단리의 개념단리는 영어로 simple interest라고 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 붙는 이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자를 계산할 때 원금에 대해서 일정한 시기에 약정한 이율을 적용하여 계산하는 금리 계산방법입니다. 복잡할 것 없고 그냥 단순합니다. 만약 1,000원을 은행에 맡겼고 연이율이 10%라고 가정하면 1년 후에 얻을 수 있는 ..
주식 SDTHD 2018. 1. 14. 15:12
이번 포스팅은 주식공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크에 대해 하겠습니다.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는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역할이 조금은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이드카(Sidecar)란?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 입니다. 2018년에는 1월 12일 금요일에 코스닥 선물시장에 발동한 적이 있습니다.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의 일종으로,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등락폭이 갑자기 커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인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한국에서는 주가지수 선물시장을 개설하면서 도입하였는데,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
주식 SDTHD 2018. 1. 10. 12:34
이번 포스팅은 ROE의 개념에 대해 하겠습니다. 주식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PER, PBR, ROE는 기업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주식이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며 지금 현재의 수익률이 얼마나 나오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본적으로 수익률이 우선이 되겠지요. 기업의 이익에 따라서 기업이 성장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식에 대한 투자를 하는데 그 기업이 적자가 나고 있다면 투자를 하면 안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적인 기업분석을 하고 주식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ROE에 대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의 포스팅인 PER과 PBR의 설명을 같이 보시면 이해를 하기 편할 수 있습..
재테크 SDTHD 2017. 12. 13. 16:08
이번 포스팅은 부동산에 대해 하겠습니다. 부동산이라는 말을 해석해 본다면 움직이지 않는 자산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실제로 존재하는 자산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은 토지와 건물과 같이 실물을 이야기 합니다. 부동산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며 부동산의 반대말인 동산은 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물건은 동산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선박, 자동차, 항공기, 건설기계 등은 원래 동산이지만 부동산에 준하는 취급을 받고 있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부동산의 개념부동산이란 인간이 본래의 인간성을 회복하여 그것을 공정하게 소유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합리적인 거래와 서비스를 도모하며, 양호한 정책의 실현으로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아야 하는 실체(reality)..
재테크 SDTHD 2017. 12. 5. 11:45
이번 포스팅은 주식의 매수와 매도에 대해 하겠습니다. 식을 시작하려고 하면 배워야 하는 것이 많습니다. 저도 많은 공부를 하지 않고 주식시장에 뛰어들었고 우선 부딪혀 보자라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절대 이런 마음가짐으로 주식을 시작하시면 안됩니다. 처음에 이런 마음가짐으로 시작한다면 손해를 볼 뿐만 아니라 매수와 매도 타이밍도 못 잡고 주식이 떨어지는 것을 구경만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저는 손해를 보고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주식의 매수와 매도 방식주식의 매수와 매도는 1:1 매칭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주에 100원이라고 하는 주식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제가 100원에 1주를 매수 주문 하였습니다. 하지만 100원에 매도를 하는 사람이 없다면 매수를 할 수..
재테크 SDTHD 2017. 10. 12. 18:47
CMA의 개념과 장점 이번 포스팅은 CMA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CMA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많이 얘기하는 주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입니다. 해석을 해보자면 자산 관리 통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되며 단기간의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장점이 있는데 어떤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A란 무엇인가?CMA는 종합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탁 받은 돈을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또한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고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지만 대부분은 국채나 우량채 등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 손..